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북극증폭, 주노(JUNO), 코드커팅(CORD-CUTTING), OTT (OVER THE TOP), FAST 플랫폼, HUMIRA (휴미라)

카테고리 없음

by lux79 2023. 5. 21. 17:24

본문

북극증폭(ARCTIC AMPLIFICATON)

 

북국이 전 지구 평균의 두 배 이상 속도로 온난화가 진행되는 등 북극 지역의 온난화가 타지역보다 유독 빠르게 진행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북극 지역의 열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빙이 지구온난화로 급격히 녹는 것이 주원인입니다. 해빙이 녹으면서 바다가 드러나면 빙하로 뒤덮여 있을 때보다 더 많은 태양열을 흡수하고, 이에 따라 기온이 가파르게 상승하면 북극 찬 공기를 감싸고 있는 제트기류가 약해집니다. 제트기류가 약해지면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아래로 내려가면서 우리나라의 겨울철 한파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제트기류는 중위도 지방의 대류권계면에서 시속 200~300km(최대 500km)로 부는 아주 빠른 속도의 바람으로, 적도지방에서 극지방으로 공기가 강하게 흐르면서 발생합니다. 

---------------------------------------------

 

주노(JUNO)

 

2011년 8월 아틀라스V 로켓에 실려 발사돼 2016년 7월 목성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한 미항공우주국(NASA)의 목성 탐사선입니다. 주노는 2003년 퇴역한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 이후 두 번째로 목성 궤도에 진입한 탐사선으로, 갈릴레오보다 시야각이 훨신 넑고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으며 고효율 태양전지가 장착된 태양전지판 3개가 달려 있습니다. 주노는 목성 주위를 37바퀴 회전하며 목성의 내부 구조를 탐사하는데, 주노 탐사를 통행 핵의 존재 여부와 조성 상태를 알게 되면 목성의 탄생 원리를 밝힐 수 있게 됩니다. 주노는 탐사 이후 목성의 북극에서 폭풍의 무리와 여러 종류의 번개를 발견했으며, 목성 중심부에 있는 행이 어떤 물리적인 성격을 띠는지에 대한 증거를 찾아내기도 했습니다. 주노는 본래 2018년 6월 초 목성과 충돌해 임무를 마칠 예정이었으나, NASA는 주노가 목성에 대한 추가 관측 미션을 받고 임무 수행을 3년 더 연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임무가 2021년 7월 끝나면서 현재는 연장 임무를 수행 중인데, 주노의 차기 임무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것은 목성 위성인 가니메데, 이오, 유로파 탐사입니다.

---------------------------------------------

 

코드 커팅(CORD-CUTTING)

 

시청자가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등 전통적인 유료 방송을 해지하고 인터넷TV, 스트리밍 서비스 등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미국은 2011년부터 유료 방송 가인 가구 비율이 꾸준히 줄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 코드 커팅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온라인 동영상 제공 서비스(OTT)의 급성장이 꼽힙니다. 

---------------------------------------------

OTT (OVER THE TOP)

 

인터넷을 통해 영화, 드라마, TV 방송 등 각종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본래 TV에 연결하는 셋톱박스를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컬었으나, 현재는 플랫폼에 상관없이 인터넷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지칭합니다. 대표적인 OTT 업체는 미국의 넷플릭스, 유튜브, 구글TV를 비롯해 국내의 WAVVE, 티빙 등이 있습니다. 

--------------------------------------------

 

FAST 플랫폼

 

광고 기반의 무료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FAST는 FREE AD SUPPORTED STREAMING TV)의 앞 글자를 딴 것입니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데 광고도 함께 나와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정액 결제형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와 차이가 있습니다. 실시간 서비스 채널이라는 점에서 과거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와 차별됩니다. 미국에서 비아컴CBS '플루토 TV', 싱클레어 '스티어', 폭스 '투비' 등의 FAST 플랫폼이 경쟁하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HUMIRA (휴미라)

 

미국 제약사 애브비가 개발한 류머티즘, 궤양성 대장염, 건선 등 15가지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2002년 미 식품의약청(FDA)에서 처음 허가받고 출시됐습니다. 휴미라는 코로나19 백신이 나오기 전인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단일 의약품으로는 전 세계 의약품 매출 1위를 기록해 왔으며, 2016년 핵심 물질 특허가 만료됐습니다. 애브비는 추가 특허를 내는 방식으로 복제약 출시를 막아왔는데, 올해부터 미국 시장에서 휴미라 복제약 출시가 가능해졌습니다. 미국 FDA의 허가를 받은 휴미라 복제약은 8종이며, 허가 심사 중인 2종을 포함하면 올해 10종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이 있는데, 두 회사 모두 7월에 출시 예정입니다. 

댓글 영역